코로나19로 휴업하는데 연차휴가로 쓰는게 맞는 것일까요? 코로나19로 회사가 바빠서 연차휴가 쓰면 안된다고요? 회사 마음대로 연차휴가 정할 수 있을까요? 예외는 없을까요? 이와 관련된 법적 근거는 바로
근로기준법 제 60조에 나와있습니다.
근로기준법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③ 삭제 <2017. 11. 28.>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2. 2. 1., 2017. 11. 28.>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
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0. 3. 31.>
즉, 근로기준법 60조 5항에 따라 주어지는 연차 유급휴가는
마땅히 누려야 할 근로자의 권리로써
회사(사업주,사용자)가 사용해라마라 할 법적 근거가 없습니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은 기억하세요.
자, 그렇다면
이런 근로기준법에서 이렇게 연차 휴가를 사용하라고 했는데
회사,사업장,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연차 휴가를 못쓰게 하면 어떻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제100조 1호에 근거하여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근로기준법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09. 5. 21., 2012. 2. 1., 2017. 11. 28., 2018. 3. 20.>
1. 제10조, 제22조제1항, 제26조, 제50조, 제53조제1항ㆍ제2항ㆍ제3항 본문, 제54조, 제55조, 제59조제2항, 제60조제1항ㆍ제2항ㆍ제4항 및 제5항, 제64조제1항, 제69조, 제70조제1항ㆍ제2항, 제71조, 제74조제1항부터 제5항까지, 제75조, 제78조부터 제80조까지, 제82조, 제83조 및 제104조제2항을 위반한 자
그리고 예외사항...!
제 18조 2항을 보면...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연차가 해당이 없다고 합니다.
즉, 주 15시간 미만으로 단시간 일하시는 분들은
연차 사용 법적 허용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
①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근로조건을 결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사항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8. 3. 21.>
그 밖에도 근고기준법 제 61조에는
연차 유급휴가의 사용촉진 사항이라는게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회사에서 연차 휴가가 요만큼 남았는데
언제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연차 휴가가 사라질 수 있다......라고
서면으로 통보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본인이 휴가를 사용 안해서 소멸되면
사용자는 소멸된 휴가를 보상해줄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밖에도...
유급휴가를 대체하여 쉴 수 있는 조항도 있습니다.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60조에 따른 연차 유급휴가일을 갈음하여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급휴가의 적용 제외 사항도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장과 제5장에서 정한 근로시간, 휴게와 휴일에 관한 규정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0. 6. 4., 2020. 5. 26.>
1. 토지의 경작ㆍ개간, 식물의 재식(栽植)ㆍ재배ㆍ채취 사업, 그 밖의 농림 사업
2. 동물의 사육, 수산 동식물의 채포(採捕)ㆍ양식 사업, 그 밖의 축산, 양잠, 수산 사업
3. 감시(監視)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사용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사람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탐구생활 > 사회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생활] 육아휴직 후 권고사직이라 쓰고 부당해고라 읽는다? (징역,벌금) (0) | 2020.09.30 |
---|---|
[직장생활]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가? (feat.직급이 올라가면 점점 싸이코패스가 되어가는 이유, 그렇게 변하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 (1) | 2020.09.28 |
[직장생활] 일이 힘든 이유, 사랑하는 것이 없어서 (feat. 누가 일을 힘들게 만들었나? I 철학자 강신주) (0) | 2020.09.27 |
[직업미래] 뉴노멀 시대, 이제는 직면해야 할 때 (포스트 코로나, 온택트) (0) | 2020.09.06 |
[직장생활] 감정 노동자의 현실, “내가 웃는게 아니야”…속으로 우는 감정노동자(The Poor Realities of Emotional Workers in Korea)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