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존의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들 대부분이 기혼을 대상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을 넘어
미혼으로까지 확장시켜 가사노동의 불평등 문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시도하였다.
맞벌이 부부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욱 많은 가사노동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사실은
가사노동의 불평등에 대한 연구 대부분이 기혼 중심으로 편중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결혼 후에 나타나는 가사노동의 남녀 불평등 문제에 치중한 결과
결혼 이전에 나타나고 있는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 불평등 문제는 상대적으로 집중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가사노동은 성역할 습득에 따른 결과물로써 어린 시절 부모에게 배운 성역할 태도 등을 포함하여
축적된 삶의 경험과 의식이 재현되는 행위이다.
따라서 결혼 이전 단계에서의 가사노동 행태를 살펴보는 것은
결혼 이후를 예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기혼의 가사분담 불평등 문제를 이해하는 폭을 확장시켜줄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결혼 전후의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량을 비교하여 살펴본다.
'결혼'이라는 중요한 생애사건을 전후로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량을 살펴보고
생애단계 전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 내고자 일반적인 생애주기에 따라 연구 대상을 세분화 하였다.
결혼 전 미혼은 '가족과 함께 사는 미혼', '혼자 사는 미혼'으로 구분하고
결혼 후인 기혼은 '자녀가 없는 기혼', '자녀가 있는 기혼'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여성은 미혼이든 기혼이든 남성보다 가사노동 시간이 길었다.
이는 미혼일 때도 가사노동 시간에 성별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여성-남성=차이)는 미혼보다 기혼이 더 컸다.
여성은 결혼을 하고 나서 가사노동 시간량이 급증했으며, 자녀가 생기면 더욱 증가했다.
반대로 남성은 결혼을 하면 미혼 때보다 줄어들고, 자녀가 생기면 자녀가 없을 때보다 다소 증가했다.
혼자 사는 미혼일 때 여성은 가장 적은 시간을 가사노동에 보냈고, 남성은 가장 많은 가사노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 시간량은 여성의 경우 연령과 소득, 노동 시간, 요일, 가구형태에 따라 변했고,
남성은 연령, 노동시간, 성역할 태도, 요일, 가구형태가 가사노동 시간량에 영향을 주었다.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를 젠더 이데올로기, 시간 가용성, 가족구성원, 상대자원 이론을 통해 설명한다.
출처 :
결혼 전후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 원문보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tials in the amounts of time young adults spend on housework. I analyze young adults from singlehood to parenthood who are 25-39 years old using nationwide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in 2014. They are divided by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single living with family, single living alone, married without children and married with children. I find that females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than males. The highlight of this article is that females living alone spend less time doing housework than females living with family. In contrast, males living alone spend the longest hours on housework compared to males living with family. Moreover, females' housework time increase rapidly after getting married, but males living with wives spend lowest housework time. Females' and males' housework times are affected by paid work time, age, day and life course shifts. Additionally, females' housework time is affected by occupations and their own earnings. But males' housework time is affected by gender role attitude.
'탐구생활 > 논문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소개] 소득 및 삶의 질과 관련된 불평등의 세대 간 이전에 관한 연구 / 소득 양극화와 자살 (0) | 2020.09.12 |
---|---|
[논문소개] 원격근무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위협 분석 (0) | 2020.09.08 |
[논문소개] 배낭여행과 사회생활의 상관관계? (연구논문 : 대학생시절의 해외배낭여행경험이 직장인의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0) | 2020.08.30 |
[논문소개] 워라밸이 효과가 있을까? (연구논문 :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0) | 2020.08.30 |